☆ 왕따 회복 칼럼
왕따 시리즈 6 - 왕따 가해자녀를 어떻게 해야하나?
이해왕 선교사
2004. 11. 19. 14:49
어느 가정에서나 왕따를 자행하는 자녀는 있을 수 있지만, 유전은 아닌 것 같다.
다행이 왕따 행위는 부모로부터 계승된 것이 아니므로, 부모들은 자녀가 왜 왕따 행위를 하는지 그 이면을 확인하고, 그렇게 된 것이 가정환경 때문인지도 살펴보며, 자녀가 왕따 행위를 중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책임이 있다.
1. 자녀의 왕따 행각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
만약 자녀가 다음 11 가지 모습과 태도 중에 1 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자녀에게 문제가 있을 수 있음으로, 부모는 자녀에게 자멸적인 행위를 시정하도록 도와주어야, 평생지속 될지 모를 자녀의 왕따 행각은 중지될 것이다.
더 많은 사항에 해당 될수록 자녀는 더 심각한 왕따 기질이 있을 것으로 보아야 한다.
-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상처를 주는 일들을 개의치 않는다
(Doesn't care about hurting other's feelings) -
기관이나 규칙을 따르려고 하지 않는다
(Shows disrespect for authority and rules) -
상대편 이성이나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을 무시하거나 경멸한다
(Shows disrespect for the opposite sex
and people of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
싸움을 즐긴다 (Enjoys fighting)
-
만사를 자기 방법대로만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Believes “everything should go my way”) -
잘못을 인정하거나 두려워하지 않는다 (Won't admit mistakes or fear)
-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자주 거짓말을 한다
(lies frequently to get out of trouble) -
고의적으로 애완동물이나 기타 동물들에 상처를 입힌다
(Deliberately hurts pets or other animals) -
다른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Doesn't trust others)
-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서 분노심을 사용한다
(Use anger to get what he or she wants) -
자신은 다른 애들보다 우월하다는 태도를 과시한다
(Display an attitude of superiority over other children)
2. 왕따 가해자녀 가정의 " 공통적 문제점과 특징 "
주로 왕따를 자행하는 자녀들의 가정에는 어떤 공통적인 문제들이 있을 수 있음으로, 부모들은 이런 문제나 상황들을 먼저 살펴보면 자녀의 왕따 행위를 더 이해할 수 있어, 자녀의 행위와 태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왕따 가해 자녀 가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4 가지 공통적 특징들을 볼 수 있다.
-
부모들의 관계성이 불안 (Parental relationship is strained)
부모 간에 불화 또는 정서적으로 상호 지원적이지 못할 때는 자녀들에게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부모역할을 하기가 어렵다. -
자녀와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함 (Spending less time with children)
부모들이 평소에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지 못하게 되면, 자녀는 왕따 행위를 자제할 수 있는 부모의 안내나 적극적인 지도를 받지 못하게 된다. -
부모의 육체적 처벌 (Parent's physical punishment)
자녀가 부모의 말을 어기면, 부모는 비육체적인 통제보다는 육체적 처벌을 가해서, 왕따 가해자녀는 모순적인 훈육을 받게 되어, 엄마나 아빠로부터 야단맞은 그날 기분에 따라서 친구들에게도 마구 행동할 위험이 있다. -
부모의 갈등 (Parent's conflict)
흔히 갈등은 야유, 폭력, 또는 손찌검 등의 부부 싸움으로 비화 될 수 있어서, 부모들의 이런 싸움을 목격한 자녀들은 친구들에게도 그와같은 일들을 자행할 수 있다.
♡ 왕따 시리즈 1 ~ 5 글을 아직 못 보신 분은 차례로 처음부터 읽어보시면~
부모의 입장에서 사랑하는 자녀에게 무엇을 도와주어야 할지를 더 아시게 되실 것입니다!
-이해왕 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