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게임 회복
인터넷 중독의 진짜고통(True pain)!
이해왕 선교사
2004. 5. 30. 02:47
우리들은 가족과 친구, 그리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직업, 취미활동, 건강, 명예 등을 추구하며 한 평생을 살아간다.
인터넷 중독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들은 인터넷의 어떤 점들이 중독을 야기하고, 우리들을 어떻게 만드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한번 "우리 삶의 5 가지 분야”에서 인터넷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함께 살펴보자!
1. 시간(Time)
각 인터넷 회사에서는 250-900시간 무료 접속, 타사전환 시 고급마우스나 헤드 셋 제공, 3개월 또는 1년 무료 가입 등의 조건 등으로 판촉활동들을 벌이고 있다. 언뜻 보기에 공짜인 것 같아 기분이 좋다. 그러나 무료이기 때문에 900 시간 동안 인터넷을 한다면, 우리들의 삶에서 900시간이 축이 나게 되며, 결국 가정, 친구, 직업, 대화 등에서 900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인터넷 1 시간은 다른 생활분야에서의 1 시간을 부족하게 만든다.
2. 직업과 일(Work)
통상 사람들은 1주에 40시간을 일해야 각종 비용을 지불하고 생활을 할 수 있어, 직업과 일은 가족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주요수단이다. 일부 기업주들은 종업원들의 나쁜 인터넷 습관으로 “근무생산성이 30-40%” 줄어들고 있어, 기업의 손해가 점점 커진다고 생각하여, 이미 일부회사에서는 사적으로 인터넷을 남용하는 종업원들을 해고시키고 있다. 기업들은 작업 환경을 이유로 특히 음란물 관람에는 아주 엄격한 편이다. 직장인 5명중에 1명 정도가 근무시간에 음란물을 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3. 생각하는 삶(Thoughtful Life)
학생들이 온라인 게임에 빠지면 학교를 그만 두는 경우가 많다. 성인들도 중독적으로 인터넷을 하다보면 걱정 및 불안, 공상, 손상된 통제력 등이 그 사람의 생각하는 삶을 지배하기 시작한다. 온라인 경험으로 만족을 추구하려는 기대감과 끝없는 탐색은 평안한 마음을 부식시켜서, 인터넷 사용자의 사고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하고 싶거나 건전한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다른 야한 장면을 보거나 게임이나 채팅을 더 하려는 생각만을 추구하게 만든다.
4. 건강, 재정, 평판(Health, Finances, & Reputation)
온라인 경험도 약물이나 도박과 같이 한 단계가 지나면, 다음은 더 차원 높은 게임이나 음란장면으로 흥분추구를 필요로 한다. 게임자들은 새로운 게임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 직장이나 학교를 빠지는 경우도 있고, 온라인 주식 거래자들이나 도박자들은 이길 수 없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잃는 위험을 더 많이 걸고, 채팅과 음란물 추구자는 배우자가 충격을 받을 때까지 성적 환상을 추구하여, 정작 자신의 건강, 재정, 및 평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성적인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된다.
5. 관계성(Relationships)
평소 관계성에 취약점이 있던 사람들이 인터넷상에서는 구애를 하거나 교제를 추구하기가 안성맞춤이다. 그래서 채팅에서 안 사람을 실제로 만나본 후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 사용자들은 실제 삶에서 사귀었던 사람들보다는 채팅방, 게임방, 또는 기타 인터넷 사이트에서 만나는 “얼굴 없는 친구들(Faceless friends)”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컴퓨터의 급속한 개발과 온라인 프로그램개발이 선두를 다투다 보니, 미처 건전한 인터넷 사용문화나 도덕적 한계 설정이 아직 없는 상태에서, 사람들은 각종 온라인 행위에 먼저 빠져들고 있다. 우리 모두는 인터넷의 건전한 사용과 절제로, 사이버 세계의 질서와 문화 그리고 도덕적 한계 설정에 “개척자적인 사명의식”을 갖고, 스스로 절제할 수 있어야 한다.
도박, 마약, 알코올 등의 중독가가 중독행위나 물체를 중단하고, 다른 건전한 방법으로 잃은 돈을 보충하거나 약물로 나빠진 육체적 건강을 되찾아도, 중독으로 야기되었던 “정서적 고통(Emotional pain)”은 어찌할 수 없는 결과로 남게 된다.
마찬가지로, 한번 온라인 중독에 빠졌다가 인터넷 사용을 절제 또는 중단해도, 잃어버린 시간, 학업 및 경력 상실, 의식구조에 대한 손상, 존경심 실추, 관계성 악화 등이 인터넷 중독이 가져다주는 “진짜고통(True pain)” 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중독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들은 인터넷의 어떤 점들이 중독을 야기하고, 우리들을 어떻게 만드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한번 "우리 삶의 5 가지 분야”에서 인터넷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함께 살펴보자!
1. 시간(Time)
각 인터넷 회사에서는 250-900시간 무료 접속, 타사전환 시 고급마우스나 헤드 셋 제공, 3개월 또는 1년 무료 가입 등의 조건 등으로 판촉활동들을 벌이고 있다. 언뜻 보기에 공짜인 것 같아 기분이 좋다. 그러나 무료이기 때문에 900 시간 동안 인터넷을 한다면, 우리들의 삶에서 900시간이 축이 나게 되며, 결국 가정, 친구, 직업, 대화 등에서 900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인터넷 1 시간은 다른 생활분야에서의 1 시간을 부족하게 만든다.
2. 직업과 일(Work)
통상 사람들은 1주에 40시간을 일해야 각종 비용을 지불하고 생활을 할 수 있어, 직업과 일은 가족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주요수단이다. 일부 기업주들은 종업원들의 나쁜 인터넷 습관으로 “근무생산성이 30-40%” 줄어들고 있어, 기업의 손해가 점점 커진다고 생각하여, 이미 일부회사에서는 사적으로 인터넷을 남용하는 종업원들을 해고시키고 있다. 기업들은 작업 환경을 이유로 특히 음란물 관람에는 아주 엄격한 편이다. 직장인 5명중에 1명 정도가 근무시간에 음란물을 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3. 생각하는 삶(Thoughtful Life)
학생들이 온라인 게임에 빠지면 학교를 그만 두는 경우가 많다. 성인들도 중독적으로 인터넷을 하다보면 걱정 및 불안, 공상, 손상된 통제력 등이 그 사람의 생각하는 삶을 지배하기 시작한다. 온라인 경험으로 만족을 추구하려는 기대감과 끝없는 탐색은 평안한 마음을 부식시켜서, 인터넷 사용자의 사고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하고 싶거나 건전한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다른 야한 장면을 보거나 게임이나 채팅을 더 하려는 생각만을 추구하게 만든다.
4. 건강, 재정, 평판(Health, Finances, & Reputation)
온라인 경험도 약물이나 도박과 같이 한 단계가 지나면, 다음은 더 차원 높은 게임이나 음란장면으로 흥분추구를 필요로 한다. 게임자들은 새로운 게임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 직장이나 학교를 빠지는 경우도 있고, 온라인 주식 거래자들이나 도박자들은 이길 수 없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잃는 위험을 더 많이 걸고, 채팅과 음란물 추구자는 배우자가 충격을 받을 때까지 성적 환상을 추구하여, 정작 자신의 건강, 재정, 및 평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성적인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된다.
5. 관계성(Relationships)
평소 관계성에 취약점이 있던 사람들이 인터넷상에서는 구애를 하거나 교제를 추구하기가 안성맞춤이다. 그래서 채팅에서 안 사람을 실제로 만나본 후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 사용자들은 실제 삶에서 사귀었던 사람들보다는 채팅방, 게임방, 또는 기타 인터넷 사이트에서 만나는 “얼굴 없는 친구들(Faceless friends)”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컴퓨터의 급속한 개발과 온라인 프로그램개발이 선두를 다투다 보니, 미처 건전한 인터넷 사용문화나 도덕적 한계 설정이 아직 없는 상태에서, 사람들은 각종 온라인 행위에 먼저 빠져들고 있다. 우리 모두는 인터넷의 건전한 사용과 절제로, 사이버 세계의 질서와 문화 그리고 도덕적 한계 설정에 “개척자적인 사명의식”을 갖고, 스스로 절제할 수 있어야 한다.
도박, 마약, 알코올 등의 중독가가 중독행위나 물체를 중단하고, 다른 건전한 방법으로 잃은 돈을 보충하거나 약물로 나빠진 육체적 건강을 되찾아도, 중독으로 야기되었던 “정서적 고통(Emotional pain)”은 어찌할 수 없는 결과로 남게 된다.
마찬가지로, 한번 온라인 중독에 빠졌다가 인터넷 사용을 절제 또는 중단해도, 잃어버린 시간, 학업 및 경력 상실, 의식구조에 대한 손상, 존경심 실추, 관계성 악화 등이 인터넷 중독이 가져다주는 “진짜고통(True pain)” 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