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증 치유 교재

중독증치유 5

중독자의 이기적인 뇌와 가족의 대처방안

뇌 화학적으로 중독과정은 인간의 뇌 안에서 흥분자극을 받은 쾌락센터가 보상체계를 작동시켜서 시작되며, 뇌는 재차 기쁜 체험 추구를 통해 고통들을 회피하게 만들어 당장 현재의 행위가 기쁜 감정을 야기해주는 한 뇌는 나중에 생길 “부정적 결과들”은 전혀 상관하지 않고 계속 중독적인 물체나 행위만을 반복하게 한다. 중독자의 뇌는 무모한 어린애와 같이 당장 원하는 것은 모두 다 하고 싶어 하는 “이기적인 브레인(Selfish brain)”으로 변한다. 약물이나 행위를 중독적으로 해서 생기는 기분 좋은 감정들은 생각과 행동을 지속적으로 왜곡시켜서 결국 건강한 뇌의 기능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폐, 심장, 간 등도 손상시킨다. 또한 중독자가 더 파괴적인 쾌감들을 추구하면서 가치의식, 행위패턴, 대인관계 등도 망가지게..

프로세스중독의 위험과 대처

2023년 6월 세계 인구 80억 중에 69억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고 이중에 57%가 매일 5시간 이상 남용 중이다. 피해가 심해지자 중독치유전문인들은 ‘프로세스 중독(Process addiction)’의 위험성과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0세기 이전에는 알코올이나 마약과 같은 물체에 의한 중독과 도박이나 게임과 같은 행위중독으로만 구분해왔다. 이들의 초기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전자는 육체적 금단증상으로 인한 약물해독 치유작업부터 초점을 둔 반면에 후자는 해독작업 없이 곧바로 중독적인 행위들로 망가지거나 잘못된 삶의 부정적인 결과들에 대한 새로운 생활방법 학습들을 위한 회복작업을 해왔다. 21세기 들어 인터넷 개발과 스마트폰 남용이 행위중독 문제들을 부추겨서 날로 더 악화되면서 프로세스중독의 ..

중독병과 수명단축

월드데이터 2020년 자료에 의하면 세계평균 사망연령은 남성 69.8세 여성 74.9세이다. 한국의 평균수명은 남성 80.5세 여성 86.5세로 미국 남성 74.5세 여성 80.2세보다 6년 더 높다. 인간의 기대수명 증가에 기여하는 생물학적, 의학적, 환경적 요인들이 많이 개선되어서 100세 시대를 맞고 있지만 최근 연구자들은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및 행위적 문제와 같이 과거에 논의되지 않았던 요인들을 조사하기 시작해서 흡연, 이혼, 알코올 및 약물 남용, 재정적 어려움, 실직 등과 같은 요인들도 기대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요즘 스마트폰 중독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어서 전 세계 인구의 기대수명 하락을 초래하고 있다. 인간의 수명을 가장 빠르게 단축시키는 5가지 행동..

코로나시대의 중독악화와 온라인 회복모임 필수

* 이 글을 통해서 중독자와 가족 분들 모두가 “온라인 회복모임”에 관심을 기울이시고 새로운 회복수단에 적응하시는 계기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 각 중독가정과 회복기관들 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 칼럼 글과 방송 내용은 다만 참고로만 해 주십시오! ▶ 코로나시대의 중독악화와 온라인 회복모임 오디오자료 듣기(39분) (본 오디오 내용 복사 및 타 사이트에 사용을 일체 금지-회원수칙 참고) * 아래 글들을 차례로 한 문단씩 읽으시면서 위의 방송을 청취하시면, 더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e)”는 코로나19 전염확산 방지를 위해서 불가피한 조치이었지만 중독문제 가정들은 2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첫째는 중독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중독물체나 행위들을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