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장애인을 위한 달(4월 20일)의 기획시리즈로 미주한국일보(2005년 4월 22일)에 실린, USA 라디에이터 대표, “김경민” 씨의 인간승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 김씨는 “차별이 오히려 기회가 됐다며, 소망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면 멀리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내가 최고” 되뇌이며, 엔지니어 거쳐 창업까지~ 장애인 안식처 설립이 소망!
자동차용 방열기를 취급하는 라디에이터 전문 수입업체 “라디에이터USA.”
라디에이터 하나만 판매해 매년 수백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는 이 회사 대표는 소아마비 장애를 가진 김경민씨다.
목발에 의지해 이동하는 모습을 보기 전에는 환한 미소와 환한 이마를 가진 그를 장애인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서울 명륜동의 유복한 집안에서 10 남매 중 9 째로 태어난 김씨는 어렸을 때 어머니가 항상 “경민이가 최고” 라고 말해주셔서 장애를 의식하기는커녕 정말 내가 최고인줄 알았다는 말로 당당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첫 돌 때 열병을 앓아 양쪽 다리의 발육이 안 된 그는 어머니가 심어준 자신감 덕분에 장애자에 대한 차별이 심하던 시절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모두 정상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명문대 일어과에 입학한 그는 대학에서 처음 자신을 향한 사회의 벽을 느꼈다.
“친구들은 아르바이트 자리도 얻고, 취직도 잘 하는데 나는 대학 졸업 후 3 년 동안 가정 교사 밖에 할 수 없더라구요.”
"차별은 오히려 기회가 됐다!"
1983년 텍사스 엘 파소로 유학 온 김씨는 컴퓨터 사이언스를 전공해 1994년 라디에이터USA를 창업할 때까지 미국회사에서 컴퓨터 엔지니어로 일하며 풍족한 삶을 살았다.
안정된 직장을 박차고 창업전선에 뛰어든 동기는 간단했다.
“어릴 때 어머님이 항상 내가 최고라고 말씀하셨고, 남 밑에서 일하는 게 적성에도 안 맞아 무작정 뛰어들었다.”
사업초기에는 자동차 정비소에 제품을 납품하기 위해 아픈 다리로 하루에 수백 마일씩 운전하는 게 힘들었지만 거래업체가 늘어나면서 서서히 안정을 되찾았다.
매년 두 자리 수의 성장을 지속해 세리토스에 제 2 창고를 오픈한지 3 년 만인 올 해 제 3 창고를 마련할 계획이다.
성공 비결에 대해 김씨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힘들 때 절망하지 않고 소망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면 멀리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도 매달 수익의 10% 이상을 장애인 단체와 불우이웃을 위해 사용하는 김씨의 꿈은 중도장애우를 위한 장애재활센터를 하나 세우는 것.
그는 “교통사고 등으로 성년이 된 뒤 장애를 입은 중도 장애우들은 선천적 장애우보다 사회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며...
“마음의 상처 때문에 사회를 등진 그들을 위한 작은 안식처를 만들려면 돈 많이 벌어야 하는데 여기저기 벌려 놓은 일이 많아 걱정” 이란다.
-이의헌 기자-
'☆ 신문·기타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독자의 범죄 - 정신병자의 범죄와 같이 취급되어야 한다! (0) | 2005.05.03 |
---|---|
어느 평신도의 성경이해 (0) | 2005.04.30 |
다이어트로 생긴 비극 - 음식중독이 부추긴 죽음! (0) | 2005.04.16 |
미국 주정부들 도박수입에 “취했다” (0) | 2005.04.12 |
도박과 직장의 공금유용 (0) | 200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