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증 치유 교재

전체 글 858

뇌 구조와 중독증

나이어려서부터 사랑해주고 체험을 자극시켜 주면 통상 명랑하고 상냥한 사람으로 되지만 학대를 받으며 성장한 자녀는 후일 학대자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무도 뇌 안에서 무엇이 사람을 성공 또는 반사회적인 사람으로 만드는지를 알 수 없다. 가장 놀랍고 심오한 발견 2가지는 첫째 뇌는 외부세계를 이용해서 스스로 형성되며, 둘째는 결정적인 시기에 뇌 세포에 어떤 흥분자극이 부여되면 시각, 언어, 후각, 근육 및 이성적 판단과 같은 능력들이 개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뇌의 실제 양식은 외부 세계와 환경들로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등의 감각체계들을 통해 일부 또는 전부를 받아들여서 뇌에 전달된 외부 세계는 몇 조억개의 뇌 세포들에 재정립되며 외부 환경과 자극의 풍요 여부에 따라서 뇌세포가 계속 성..

딥페이크 음란물로 성 범죄와 중독 위험

딥페이크(Deepfake) 용어는 인공지능(AI)의 일종으로 딥러닝을 이용해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콘텐츠를 만드는 것으로 ‘깊은 학습과 가짜(deep learning & fake)’ 라는 단어들의 합성어로 사람의 얼굴, 목소리, 행동, 텍스트 등을 조작해서 진짜와 같은 가짜 이미지나 영상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딥페이크 역사는 연구자들이 이미지 처리를 위해 AI를 실험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로 볼 수 있지만, 2017년 11월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익명의 Reddit 사용자가 기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진짜와 같은 가짜 동영상을 만드는 알고리즘을 게시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딥페이크 기술을 좋게 사용할 경우에는 엔터테인먼트, 교육, 의료, 마케팅, 고객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방법들을 ..

자녀의 중독증과 부모의 의존증 회복 교재

대체로 부모들은 성인자녀의 중독문제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싶어 하지 않으면서도, 중독으로 고통 받고 있는 자녀를 어떻게든 도와주려는 본능적인 반응들을 보인다. 하지만 부모들이 자녀를 안전하게 지키려다가 파괴적인 ‘상호 의존적인 함정’에 함께 빠질 위험도 있고, 본의 아니게 자녀의 중독을 더 연장시킬 우려까지 있기 때문에, 먼저 부모들은 중독적인 행위를 더 하도록 정서적 및 물질적으로 돕는 것과 중독된 자녀가 치료를 받도록 돕는 것과의 차이점을 알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존적인 부모들은 종종 중독된 자녀의 행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시도로 온갖 책임들을 다하려고 한다. 특히 중독초기부터 자녀를 대신해서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변명이나 거짓말을 하거나, 음주 운전이나 기타중독 혐의로 감옥에 수감되..